2024. 5. 19. 14:47ㆍ역사와문화산책
2019-01-15 13:26:48
레닌
다른 표기 언어 Lenin
1870. 4. 22(구력 4. 10), 러시아 심비르스크 |
1924. 1. 21, 모스크바 근처 고리키 |
소련 |
요약 러시아 공산당을 창설하여 혁명을 지도했고 소련 최초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제3인터내셔널 (코민테른)을 창설했으며, 마르크스 이후 가장 위대한 혁명사상가인 동시에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혁명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17세부터 마르크스의 〈자본론〉 등 혁명서적을 탐독, 1889년 1월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곧 사회민주노동당을 이끄는 주역이 되었고,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열린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레닌은 1924년 1월 21일 저녁 고리키에서 뇌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러시아의 공산주의 혁명가 , 정치가
ⓒ L. Léonidov / wikipedia | Public Domain
개요
러시아 공산당을 창설하여 혁명을 지도했고 소련 최초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제3인터내셔널(코민테른)을 창설했으며, 마르크스 이후 가장 위대한 혁명사상가인 동시에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혁명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공산주의).
초년기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은 교육수준이 높고 교양있는 부모의 6명의 자녀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어머니 마리아는 의사의 딸이었으며 아버지 일리야 니콜라예비치 울리야노프는 농노의 아들이었지만 교사로서 장학사의 지위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대학시절 나로드니키 운동에 가담했던 맏형 알렉산드르가 알렉산드르 3세의 암살음모에 연루되어 1887년 처형당하자, 17세의 레닌은 혁명적 민주주의 전통 및 마르크스의 문헌에 가까워지게 되었다. 1887년 가을, 카잔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으나 같은 해 12월 불법집회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쫓겨났다.
다시 카잔으로 돌아왔지만 재입학은 허용되지 않았고 추방된 혁명가들과 사귀면서 마르크스의 〈자본론 Das Kapital〉 등 혁명서적을 탐독했다. 1889년 1월 레닌은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 INeverCry/wikipedia | Public Domain
혁명조직 결성
1891년 11월 법률 졸업시험을 수석으로 통과한 그는 법률 학위를 취득하여 1893년까지 가족이 정착해 있던 사마라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1895년 레닌은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를 비롯한 러시아 망명 정치가들과 접촉하기 위해 서유럽으로 갔다.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오자 마자 나중에 멘셰비키의 지도자가 된 L. 마르토프 등과 더불어 '노동계급해방투쟁동맹'을 조직했으나, 1895년 12월 체포되어 1년이 넘도록 감옥에 갇혀 있다가 시베리아의 슈셴스코예로 3년간 유배되었다.
같은 동맹 회원이며 약혼녀인 나데주다 크루프스카야는 유형지까지 그를 따라왔고 두 사람은 그곳에서 결혼했다.
1900년 1월 형기가 만료되자 독일 뮌헨에서 플레하노프·마르토프 및 3명의 편집인들과 회동하여 마르크스주의 최초의 정치신문인 〈이스크라 Iskra〉('불꽃'이라는 뜻)를 창간했는데, 이는 러시아의 지식인들을 포섭하고 마르크스주의 세력을 규합하여 사회민주당을 형성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당시의 인텔리겐치아들이 마르크스주의에 매료될 수 없었던 이유는 널리 유포되어 있던 인민주의적 경향 때문이었다. 인민주의자(나로드니키)들은 농민이 전인구의 3/4을 차지하는 러시아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1861년의 농노해방 이후 지방자치적 농민공동체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는 현실상황은 자본주의와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다.
한편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아버지 플레하노프는 산업발전의 추세를 들어 러시아가 이미 자본주의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규정했다.
레닌은 그의 이론을 대체로 수긍하면서 여기에 독자적인 색채를 가미했다. 유배중이던 1899년에 나온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달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Russia〉에서 자본주의가 농민공동체를 급속히 와해시켜가고 있으며, 농민계급은 사실상 농촌 부르주아와 중산농민, 그리고 지방의 프롤레타리아트로 계층구조화되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농민의 절반 가량에 해당하는 농민 프롤레타리아 세력에서 극소수에 불과한 러시아 산업 프롤레타리아의 제휴세력을 발견한 것이다. 1898년 3월 민스크에서 결성되었다가 정부의 탄압으로 무산되었던 사회민주당대회가 1903년 7월 30일부터 약 3주일에 걸쳐 런던에서 열렸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WP)이라는 명칭이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 대회에서는 당의 강령과 규약이 채택되었지만 당원자격과 규약의 성격 등을 둘러싸고 갈등이 일어났다.
1902년에 발표된 팜플렛 〈무엇을 할 것인가? What is to be done?〉에 이미 나타나 있듯이 레닌은 노동조합운동이 아닌 계급해방과 사회주의 혁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당이 사회주의적 계급의식을 심어주어야 한다고 역설함으로써 '프롤레타리아 전위대(前衛隊)'로서의 당의 위상을 천명했고, 자본주의 체제하의 프롤레타리아는 자발적으로 혁명에 뛰어들게 되므로 당은 분열되어 있는 그들의 세력을 조정·결집시키기만 하면 된다는 입장에 반대했다. 〈이스크라〉를 통하여 레닌과 협력했던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레온 트로츠키는 레닌이 자유로운 당내 토론을 억압하는 자코뱅주의로 기울고 있으며 프롤레타리아의 독재가 아닌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독재, 나아가서는 1인독재체제를 지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트로츠키). 그결과 사회민주노동당은 레닌을 주축으로 한 볼셰비키(다수파)와 마르토프 중심의 멘셰비키(소수파)로 양분되었다.
1905년의 러시아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뤼순[旅順] 함락(1904. 12. 19) 이후 러일전쟁 반대의 여론이 팽배해지면서 1905년 1월 제1차 러시아 혁명이 일어났다.
사실 그것은 혁명이라기보다 부르주아 자유주의자와 입헌주의자의 반란, '피의 일요일'의 학살행위에 분개한 노동자의 폭동, 그리고 짓눌려 있던 농민들의 광범위한 민란이 한 데 뒤섞인 것이었으며 사회주의 혁명의 수준에까지는 도달될 수 없었다. 이즈음 레닌과 멘셰비키의 대립은 더욱 심화되어갔고 그는 혁명에서 사회 각 계급이 담당해야 할 임무와 혁명 후에 들어서게 될 정부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골몰했다.
원래 사회민주노동당의 주류는 플레하노프가 초기에 설정했던 대로 부르주아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2단계 과정을 거쳐 사회주의 혁명이 완성된다고 믿고 있었다. 부르주아 혁명은 부르주아가,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 멘셰비키의 입장이었던 반면, 레닌은 부르주아 혁명단계를 생략하고 곧장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추진해야 하며 그 주도세력은 프롤레타리아가 되어야 하고 믿을 수 있는 동맹자는 오직 농민뿐이라고 주장했다.
1907년에 레닌은 다시 망명생활에 들어갔고 이 2번째 망명은 1917년까지 이어진다. 멘셰비키와 볼셰비키 진영 내부의 도전에 시달리던 그는 기회주의자들의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대항할 의도로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Materialism and Empiriocriticism〉(1908)을 썼다. 이 책은 세계관 및 인식론에 주목하여 부르주아 철학의 배후에 은폐되어 있는 스콜라주의를 폭로하고, 관념론적 철학과 그 창시자들을 근본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변증법적 유물론을 옹호한 것이었다. 레닌은 1912년 프라하에서 볼셰비키만으로 당대회를 소집하여 멘셰비키와 완전히 결별했다.
1914년 8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제2인터내셔널에 소속된 유럽의 사회주의 정당은 전쟁 전의 결의사항을 무시한 채 제각기 제국주의 전쟁에 가담한 자국 정부를 지원했다. 레닌은 사회주의적 국제주의에 대한 이와 같은 배신행위를 비난하고 이미 죽어버린 인터내셔널 대신 진실로 혁명적인 사회주의 정당들이 모여 새로운 제3인터내셔널(코민테른)을 만들 것을 호소했다(침머발트 회의). 그리고 사회주의자들은 제국주의 전쟁을 내전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노동자와 군인들은 적국의 노동자를 죽이는 대신 총부리를 자기 나라의 자본가와 지배자들에게 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레닌은 1917년 출판된 〈제국주의, 자본주의 최고의 단계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에서 전쟁의 실질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주의자들이 왜 전쟁을 지원했으며, 왜 혁명만이 정당하고 민주적인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설명했다.
1917년의 러시아 혁명
1917년 2월, 굶주림과 추위와 전쟁에 지친 수도 페트로그라드(1914년까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노동자와 군인들이 황제를 몰아냈다.
스위스에 체류하던 레닌은 독일 정부가 제공한 봉인열차(封印列車)로 1917년 4월 16일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했다. 수도에는 각 공장에서 선출된 노동자 대표위원회인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가 구성되어 있었고, 자유주의적 부르주아로 이루어진 임시정부는 이 소비에트로부터 모든 권한을 위임받았다.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SR) 및 농민당 당원들이 중심이 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2월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부르주아 지도자들이 새 정부를 이끌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볼셰비키는 여전히 소수파였다. 레닌은 10개항에 걸친 '4월 테제'를 발표하여 '임시정부 타도'와 '모든 권력은 소비에트로'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그는 평화와 토지분배를 원하는 노동자·농민·병사의 소원을 이루어줄 수 있는 것은 반혁명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임시정부가 아니라 오직 소비에트 정부, 즉 노동자·농민·병사의 직접 지배뿐이라고 선동했다.
이것은 또 1차례의 혁명을 의미했다.
1917년 7월 3일의 볼셰비키 무력시위가 임시정부에 의해 진압된 후 독일 스파이로 수배된 레닌은 핀란드로 도피했다. 이 시기에 씌어졌으나 결국 미완성으로 남은 〈국가와 혁명 The State and Revolution〉에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국가적 형태인 소비에트 공화국의 이념들이 전개되어 있고, 나아가 계급과 국가가 소멸된 공산주의 사회에 이르는 도정이 서술되어 있다.
온건한 사회주의자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정부는 전쟁에 대한 대중들의 염증과 경제파탄으로 지지를 잃어갔다(케렌스키). 이에 따라 평화와 토지와 빵을 요구하는 볼셰비키가 호응을 얻기 시작했는데, 9월에 들어서자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물론 전국 주요도시와 촌락 소비에트에서 다수파로 군림하게 되었다.
지금이야말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켜 모든 국가기관을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확립할 시기라고 판단한 레닌은 당장 무장봉기를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당 중앙위원회는 그의 무모한 전략에 완강히 저항했다. 레닌은 10월 20일경 몰래 페트로그라드로 잠입하여 중앙위원들을 설득했고, 마침내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인 레온 트로츠키의 협력을 얻어 '적위대'(赤衛隊)를 조직했다.
1917년 11월 7일부터 8일 사이 볼셰비키 적위대는 임시정부 타도에 성공했으며, 모든 국가권력이 소비에트에 넘어왔음을 선포했다.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은 혁명 직후 열린 전(全)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새로운 정부인 인민위원 소비에트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연방의 성립
연합국은 소비에트 정부를 승인하지 않았고, 레닌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평화협상을 시작했다.
그는 10월혁명 이전만 해도 일단 사회주의 혁명이 성공하게 되면 제국주의 전체, 특히 독일과 혁명전쟁을 벌이겠다고 공언했지만, 이제는 갓 태어난 소비에트 국가의 존속이 세계혁명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설파하면서 추축국이 내세운 굴욕적인 조건을 받아들여 1918년 3월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러시아에는 평화가 도래하지 않았다.
1918~20년 내전에 휩싸이게 된 러시아는 수많은 인명과 재산을 잃었다. 주로 러시아 제국 장군 출신들이 지휘하는 반소비에트 군대(백군)는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붉은 정권을 타도하려고 필사적으로 싸웠지만 결국 패배했다. 소비에트 정부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레닌의 뛰어난 지도력 때문이었다. 그는 트로츠키의 도움을 받아 노동자와 농민들로 적군(赤軍)을 조직하고 전략을 마련했다. 경제가 파탄상태에 빠졌는데도 적군과 산업노동자들에게는 충분한 물자를 보급했으며 산업노동자를 새로운 특권계급으로 인정하여 프롤레타리아트의 충성을 얻어냈다.
내전이 계속되는 동안에는 잉여농산물을 징발했지만 백군이 패퇴하자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하여 농민들이 공개시장에 잉여농산물을 내다팔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18년 레닌은 러시아 사회민주당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으로 개칭했고, 1919년 3월에는 국제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추진하기 위해 제3인터내셔널을 창설했다. 스스로 코민테른의 강령을 작성한 레닌은 노동자 통일전선에 대한 전략 전술을 제시하여 반제국주의 민족해방투쟁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했다.
공산주의 정부의 체제가 정비되어감에 따라 농민과 노동자들의 불만은 증폭되었다.
레닌은 볼셰비키 노선에 대한 불만세력들을 공개재판 등을 통해 가혹하게 제재하기 시작했으며 이설(異說)을 용납하지 않았다. 볼셰비키 노선에 대한 이와 같은 그의 집착이 결국 스탈린의 1인독재체제로 귀결되었다고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레닌 자신은 스탈린이나 트로츠키가 집권할 경우 초래될 위기상황에 대해 깊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한다.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은 1924년 1월 21일 저녁 고리키에서 뇌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역사와문화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조땅굴 (0) | 2024.05.19 |
---|---|
스탈린 김일성 남한 공격을 허락하다 (0) | 2024.05.19 |
레닌의 영묘 (0) | 2024.05.19 |
KBS 역사왜곡 고발한다 (0) | 2024.05.19 |
이승만 초대 대통령 아들 이인수 박사 (0) | 2024.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