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15. 15:48ㆍ부동산법률상식
부동산법률상식
2012-08-11 00:43:21
시골땅, 테마만 있으면 돈 된다
- 시골 땅 가치 높이는 방법 다섯가지 -
어떤 땅이든 사두기만 하면 올라가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운이 아주 좋으면 몰라도 땅 값이 올라가기를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그냥 두고 땅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을 바라는 것은 이제 감나무 아래서 홍시가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시간이 가면 홍시가 저절로 익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그 시간이 얼마가 걸릴지도, 기다리는 동안 날짐승이 따 갈지, 기다리다 잠들어 떨어지는 것을 놓쳐버릴지도 모릅니다.
시골 땅도 개발을 해야 가치가 올라갑니다.
아파트 개발을 하는 것과 같이 대규모는 아니지만 개인이 개발마인드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시골 땅을 구입하여 전원생활을 하려고 한다면 자기 땅에 대한 개발마인드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전원생활을 하면서 그 땅의 가치를 높이고 땅을 이용해 돈을 벌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자연환경을 최고의 가치로 인정해야 합니다.
전원생활을 하면서 시골 땅을 개발하고자 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내용은 '투자가치가 있는 전원주택 만들기' 내용과 부분적으로 중복됩니다.)
가꾼 만큼 가치는 올라간다
원래 좋은 땅은 없고 좋은 땅은 만들어집니다.
볼품없던 땅도 잘만 가꾸면 몇 배의 가치를 만들 낼 수 있습니다.
가꿀 때는 반드시 테마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들면 매실농원이나 야생화농장, 허브나라 등이 모두 테마로 성공한 좋은 예입니다.
땅값은 올라가고 테마가 돈이 됩니다.
주제파악을 하라
그 땅에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면 가장 잘 할 수 있는지를 찾아내야 합니다.
단순히 전원주택을 지어 사는데 만족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수익을 얻겠다면 어떤 것을 할 것인지 그 땅과 맞는 주제를 정확히 정해야 합니다.
펜션을 할 것인지 전원카페를 할 것인지 아니면 나무를 가꿀 것인지에 대해 심사숙고하여 가장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욕심은 금물이다
시골 땅을 구입해 전원주택을 지어 살든 수익사업을 하겠다 생각하는 실수요자들이라면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한다.
시작할 때는 의욕으로 달려들지만 막상 가꾸는 것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들의 경우 정원이나 텃밭으로 큰 평수를 욕심내지만 막상 가꾸어보면 100평을 넘으면 관리가 힘들어 땅을 주체하지 못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평수가 얼마 정도인지를 정하여 처음에는 적응기간을 갖고 서서히 규모를 늘려가야 합니다.
환경은 살리고 집은 죽여라
현재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들 중에는 집에 너무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집을 짓기 위해 산을 깎고 나무를 몽땅 베어버린 후 덩그렇게 집만 짓는 경우도 많습니다.
집을 크게 지으려고만 하는 경우도 있는데 큰 집을 지어 사는 사람들은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이 크면 관리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50평 이상이 되면 청소를 하는 것도 만만치 않습니다.
혹 매매를 하고자할 때도 덩치가 커 쉽지가 않습니다.
집은 되도록 작게 하고 대신 정원과 주변 경관을 꾸미는데 신경을 쓰면 땅의 가치를 올릴 수 있습니다.
집은 짓는 시간부터 손해지만 땅은 가꾸는 만큼 이익이 납니다.
중요한 것은 땅을 가꾸더라도 자연환경은 살려서 가꾸어야합니다.
팔 때를 생각하라
땅을 구입하든 전원주택을 구입하든 팔 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예를들어 수도권주변, 분당 인근지역에서는 고급주택을 지으면 팔릴 수 있지만 강원도 산속에 고급주택을 지었다면 그만큼 나중에 팔기 힘들 것입니다.
환경이 좋은 곳에 좋은 집을 짓는다면 나중에 쉽게 팔 수 있겠지만 축사 옆에 고급주택을 짓는다면 혹 나중에 팔아야 할 경우 힘들 것입니다.
'부동산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들의 부동산 매매 요령 (0) | 2024.07.15 |
---|---|
중개업자가 직접 밝히는, 아파트 거래 잘하는 방법 (0) | 2024.07.15 |
토림(土林)을 주목하자. (0) | 2024.07.15 |
임야 투자 요령 (0) | 2024.07.15 |
부동산 거래 기본 상식. (0) | 2024.07.15 |